정보나라

긴급복지 생계지원금 2025 완벽 가이드|신청방법·대상조건·지원금액·지급시기·연장조건 본문

모든정보를발빠르게알려드립니다

긴급복지 생계지원금 2025 완벽 가이드|신청방법·대상조건·지원금액·지급시기·연장조건

정보나라대장 2025. 10. 21. 10:39
반응형
긴급복지 생계지원금 2025 완벽 가이드|신청방법·대상조건·지원금액·지급시기·연장조건

긴급복지 생계지원금 2025 완벽 가이드
신청방법·대상조건·지원금액·지급시기·연장조건

갑작스런 실직·휴폐업·질병·사망·화재 등으로 생계가 곤란할 때, 국가형 긴급복지지원제도를 통해 생계비·의료·주거 등을 신속하게 지원받을 수 있습니다. 본 글은 2025년 최신 지침을 바탕으로 핵심만 정리했습니다(공식 링크·버튼 포함).

1) 개요 & 바로가기

긴급복지지원제도란?

위기상황으로 생계유지 곤란한 저소득 가구에 대해 생계·의료·주거 등일시적으로 신속 지원하는 국가 제도입니다.

※ 누구나 129로 신고·문의 가능, 읍면동·시군구에서도 접수합니다.

지원 흐름(요약)

  1. 요청/신고(129·읍면동·시군구)
  2. 현장확인·사후조사
  3. 지원결정·지급

보건복지부 공식 프로세스에 따릅니다.

2) 대상조건(위기 사유·소득·재산)

① 위기상황(예)

  • 실직·휴폐업으로 소득 상실 발생
  • 중한 질병·부상, 가정폭력·학대·성폭력 피해
  • 사망·이혼·단전·화재 등으로 생계 곤란

위기사유는 지속 확장·개정됩니다(예: 출소자·범죄피해자 추가 등). 공식 고시 참조.

② 소득 기준(2025)

가구 중위소득 75% 이하 — 예: 1인 1,794,010원 / 4인 4,573,330원 (월 기준). 상세 표는 복지로·지자체 고지 참고.

③ 재산·금융재산 기준(2025)

  • 재산(일반+금융-주거공제-부채): 대도시 241백만원 / 중소도시 152백만원 / 농어촌 130백만원 이내
  • 주거용 재산 공제 상한: 대도시 6,900만원 / 중소도시 4,200만원 / 농어촌 3,500만원
  • 금융재산: 가구규모별 기준(주거지원은 +200만원)

3) 가구원수별 생계지원금액(월)

가구원 수월 지원금액(원)
1인730,500
2인1,205,000
3인1,541,700
4인1,872,700
5인2,186,500
6인2,485,400

※ 현금 또는 이에 상당한 현물로 지급할 수 있습니다(거동 곤란 등 사유 시 현물지급).

4) 신청방법·필요서류·지급시기

신청 경로

  • 📞 129 보건복지상담센터(24시간) → 관할 지자체로 연계
  • 🏢 거주지 읍면동·시군구 방문 접수
  • 🌐 복지로 서비스 안내·검색

필요서류(예)

  • 신분증, 주민등록 등·초본
  • 소득·재산 확인서류(급여명세·사업소득, 금융·재산 내역 등)
  • 위기사유 입증(실직·휴폐업 확인, 진단서, 화재사실 등)

서류는 사안별로 달라질 수 있으며, 현장확인 및 전산 확인이 병행됩니다.

지급시기

요청 → 현장확인결정 후 즉시 집행을 원칙으로 신속 지급합니다(지자체 내부집행 절차에 따름).

5) 연장조건(최대 기간)·사후심사

  • 기본 지원기간: 원칙적으로 1개월.
  • 단순 연장: 위기상황이 계속되면 1개월씩 최대 2회 연장 가능(총 3개월).
  • 추가 연장: 계속 위기 시 긴급지원심의위원회 심의로 추가 연장 가능, 법 개정으로 최장 6개월까지 허용.
  • 사후조사·적정성 심사: 지원 후 소득·재산·위기사유를 조사·심사하여 부정수급 시 환수 조치.

연장·상한은 생계지원 기준이며, 주거·의료 등 세부 급여는 별도 상한·기간 규정이 있을 수 있습니다.

6) FAQ

Q. 소득·재산 기준을 조금 넘으면 전부 탈락인가요?

원칙은 기준 이내이나, 현장확인·사후심사에서 위기사유·부채·주거공제 등을 반영합니다. 다만 명확한 초과는 제외될 수 있습니다.

Q. 현금이 아닌 현물로 받을 수도 있나요?

네. 현금 또는 이에 상당하는 현물로 지급할 수 있습니다(거동 곤란 등 사유 시).

Q. 몇 번까지 연장되나요?

기본 1개월 + 1개월씩 2회(총 3개월) 가능, 위원회 심의 시 추가 연장 → 최장 6개월 범위.

Q. 어디에 문의하나요?

129 또는 거주지 읍면동·시군구 복지부서. 복지로에서 서비스 찾기·사전 확인 가능.

#긴급복지 #생계지원금 #긴급복지지원제도 #복지로 #보건복지부 #신청방법 #지원금액 #연장조건 #지급시기 #2025복지
반응형